
개발을 하면 할 수 록 영어를 잘하고 싶은 욕심이 생겼다. 사실 나는 영어 스피킹에 대해 딱히 거부감은 없었다. 캐나다에 조금 있기도 했었고 그때 스피킹을 통해 영어를 먼저 배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법, 어휘 등 모든 게 부족했다. 항상 그냥 생각나는 대로 바로 말하는 스타일이었고, 말을 할 때 알 맞는 문법이나 어휘를 생각하면서 말해 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ㅎㅎ.. 또 점점 영어를 쓸 일이 없어져서 영어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보고 싶었다. 그래서 스터디를 만들어야겠다고 마음먹었고 이왕 할 거면 개발자 분들이랑 같이 하고 싶었다. 왜냐하면 같은 분야에 일 하는 만큼 공통적인 주제로 이야기할 게 많을 것 같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스터디 구성원 스터디 구성원은 나 포함 총 4명이었고 모두..

요즘 연말 회고글이 많이 보이길래 나도 작성해 보기로 했다. 2019년은 정말 다사다난 한 해였다. 😅 목표로 도전한 것중에 실패한 것도 많았고 성공한 것도 많았다. 올 한해 겪었던 일들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워드클라우드와 함께 키워드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 영어 / 스터디 나는 2019 년에 총 3개의 스터디를 참여 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이 영어 스터디였다. 스터디한 사람들과의 핏이 너무 잘 맞아서 3개월 내내 즐거웠다. 사실 어느 순간부터 이런 자기개발이 삶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미래를 위해 한걸음 한걸음 내딛는 느낌이 들어서 일까? 흠.. 스터디 인원은 모두 Women Who Code 커뮤니티에서 만난 분들이어서 스터디 이름을 Women Who Code English Study로 지었고..
📄 An article from CNN House of Representatives impeaches President Donald Trump The deeply divided House of Representatives took the historic step to impeach President Donald Trump on Wednesday, charging a president with high crimes and misdemeanors for just the third time in American history. www.cnn.com 🗣 Vocabularies 1) misdemeanor : a crim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less serious types of c..
프로그래머라면 형식에 맞춰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코드 형식을 맞추기 위해 간단한 규칙을 정하고 그 규칙을 착실히 따라야 한다. 팀으로 일한다면 팀이 합의하여 모두가 규칙을 정하고 그 규칙을 따라야 한다. 필요하다면 규칙을 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자. 1. 형식을 맞추는 목적 코드 형식은 매우 ! 중요하다. 코드형식은 의사소통의 일환이다. 오늘 구현한 코드의 가독성은 앞으로 바뀔 코드 품질에 대해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2. 적절한 행의 길이를 유지하라. 자바에서 파일크기는 클래스의 크기와 밀접하다. 많은 오픈소스들을 보면 작은 크기의 파일(클래스)들로 이루어져 가독성이 좋은걸 볼 수 있다. 일반 적으로 작은 파일이 큰 파일 보다 이해하기가 쉽다. 3. 신문기사 처럼 작성하라. 잘 작성되어진 신문기사를 보면..
"나쁜 코드에 주석을 달지 마라. 새로짜라" 주석은 그 어떤 정보보다 유용하다. 하지만 주석은 필요악이다. 우리는 코드로 의도를 표현하지 못해, 그러니까 실패를 만회하기위해 위해 주석을 사용한다. 1. 주석은 나쁜 코드를 보완하지 못한다. 코드에 주석을 추가하는 일반적인 이유는 코드 품질이 나쁘기 때문이다. 표현력이 풍부하고 깔끔하며 주석이 거의 없는 코드가 복잡하고 어수선하며 주석이 많이 달린 코드보다 훨씬 좋다. 2. 코드로 의도를 표현하라! 되도록이면 주석을 달지 않고 코드로 의도를 표현하라. 3. 좋은 주석 어떤 주석은 필요하거나 유익하다. 1) 법적인 주석: 회사가 정립한 구현 표준에 맞춰 법적인 이유로 특정 주석을 명시 2) 정보를 제공하는 주석: 기본적인 정보를 반환 3) 의도를 설명하는 주..

요즘 GraphQL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들려와서 나도 간단한 어플을 한번 만들어보려고 공부를 시작해 보았다. 우선 간단 한 예제를 한 번 만들어 보려고 한다. 1. Project 생성 및 Dependencies 설치 $ mkdir graphql-test //프로젝트 생성 $ cd graphql-test // 해당 폴더로 경로 이동 $ npm init -y //package.json 생성 $ npm install //node_modules 설치 $ npm install --save express express-graphql graphql $ npm install --save axios json-server nodemon 2. express 서버에 graphQL 미들웨어 사용 설정 파일 이름: server..

드디어 Hacktoberfest 2019 티셔츠가 도착했다! 사실 지인 후기를 듣고 한 일 년은 걸리 겠거니 했는데 2달 만에 도착을 해서 깜짝 놀랐다. 🤔 Hacktoberfest란 무엇일까? Hacktoberfest란 매년 10월에 열리는 오픈소스 장려 이벤트로 10월동안 오픈소스에 4개의 PR을 성공적으로 올리면 티셔츠를 주는 이벤트이다. 나는 이 당시 컨트리뷰톤에 참가 중이었고 멘토님이 소개해주셔서 참가하게 되었다. https://hacktoberfest.digitalocean.com/ Hacktoberfest presented by DigitalOcean and DEV Open source is changing the world – one pull request at a time. hacktob..
해당 장에서는 프로그램의 가장 기본 단위인 함수 설계를 잘하는 방법을 다룬다. 1. 작게 만들어라. 책에서는 함수를 최대한 작게 만들어라를 강조하고 있다. 함수를 작게 만들수록 읽고 쓰기가 쉬워진다. 예제로 든 코드를 보면 리팩터링 한 상태의 함수는 10줄이었는데 해당 함수를 3줄로 줄였고 이렇게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 블록과 들여쓰기 if/else, while문에 들어가는 블록은 한 줄이어야 한다. 2. 한가지만 해라 "함수는 한 가지를 해야 한다. 그 한 가지를 잘해야 한다. 그 한 가지만 해야 한다." 지정된 함수 이름 아래에서 추상화 수준이 하나인 단계만 수행한다면 그 함수는 한 가지 작업만 한다. 우리가 함수를 만드는 이유는 큰 개념을 다음 추상화 수준에서 여러 단계로 나눠 수행하기 위해..